학과소개

교과목해설

교과목 해설
교과목명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비고 설강
국문 영문 국문 영문 학년 학기
사회복지 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사회복지학의 연구 및 실천방법, 사회복지의 미시적 분야와 거시적 분야, 실천방법론, 사회복지 정책과 제도 및 실천분야를 학습한다 The definition, scope, methods, and issues of social welfare and social work at the freshman level. 전필 1 1
사회문제론 Social Problems 사회복지실천과 관련된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문제들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사회문제의 해결 및 예방의 대책을 학습한다. basic sociological terminology, theories, and methods used to understand social problems. typical social problems in korea and potential solutions. 전선 1 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환경 속의 개인의 관점에서 다양한 인간행동을 이해하고, 체계론적 관점을 토대로 개인, 가족, 집단, 조직, 지역사회에 관한 행동과학이론과 사회과학이론을 학습한다. Theories on behavioral sciences about human development and other researches on the interrelationship of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전선 1 2
건강가정론 Studies of Healthy Family 건강가정론 에서는 '건강가정'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과 가족내의 다양한 문제를 현장에서 풀어나가는 실제적인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Study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 family. Also, discuss the role of a health-family manager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전선 2 1
사회복지 발달사 History of Social Welfare 미국과 영국 등의 사회복지발달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발달과정을 사회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제 요인들과의 역동적 관계를 중심으로 규명하고, 향 후 사회복지 제도의 발전방향을 학습한다. Reviewing historical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in modem society. Emphasis is on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aspects of the society related welfare policies and practices. 전선 2 1
사회복지 조사론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elfare 과학적 방법으로서의 사회복지조사의 기본 개념, 이론을 학습하고, 서베이, 욕구조사, 실험연구, 프로그램 평가 등 중요한 조사방법의 설계와 자료수집기법을 습득한다. Basic concepts, methods, and statistical skills in conducting research such as case study, surve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전선 2 1
장애인 복지론 Social Services for the Handicapped 심신장애의 발생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그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제반 사회적 대책을 연구한다. Patterns of disability and handicap, theories and practical techniques, and approaches to the achievement of the handicapped's social integration. 전선 2 1
학교사회 사업론 School Social Work 학교사회사업은 기본적으로 학교 영역에서발생하는 각 주체들의 사회복지 욕구를 중심 주제로 다루는 과목이다. 이러한 욕구는 학생, 교사, 부모, 지역사회 사이의 다양한 상호 작용을 통해 표현되는데, 이 과정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해당 욕구의 충족을 위한 사회사업적 방법과 프로그램을 익히는 것이 이 과목의 목표이다. 또한, 이 과목은 학교와 지역사회를 포 괄하는 청소년 문제도 함께 다루고 있다. Practical techniques and guidance methods to help students to achieve self-realization and grow into sound citizens. 전선 2 1
사회복지자료 분석론 Data Analysis for Social Welfare 사회현상을 통계적으로 기술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양적 자료 분석에 초점을 두어 학습하여 자료 분석의 기본적 특성과 분석절차를 학습한다.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skill development in the use of statistical procedures and knowledge. 전선 2 2
아동복지론 Child Welfare 아동과 아동복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이론적 배경과 실천방법을 학습하여 아동복지분야에서 활동할 사회복지사의 능력을 배정한다. Theories and methods, practical tools and techniques, and public policies for resolving problems relative to child welfare. 전선 2 2
여성복지론 Social Services for Women 여성문제와 여성복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이론과 실천방안을 학습하여 여성 복지 분야에서 활동할 사회복지사의 능력을 배양한다. Various women's issues and the values, aims,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social services for women. 전선 2 2
지역사회 복지론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지역사회의 복지향상을 위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 모델, 원칙, 과정 및 실천기술 등을 학습한다. Indirect practice in dealing with community needs and problems and enhancing welfare of the residents in the community. 전선 2 2
프로그램 개발과평가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복지서비스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기획, 운영, 평가 등의 이론과 기법을 학습한다. Basic principles and skills for evaluating social work practice, the interrelationship of research and social work practice, and strategies to improve social work practice, policy, and service delivery. 전선 2 2
가족복지론 Social Work with Families 가족구조, 가족관계, 가족의 기능, 가족의 생활주기, 가족문제 등에 관해 학습하고, 가족복지정책과 서비스 현황 등에 관해 고찰한다. Major social and demographic changes in the family and critical issues in the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family policy. 전선 3 2
빈곤론 Theory on Poverty 빈곤현상을 다각적으로 검토함과 동시에 다양하게 이론적으로 접근하면서 빈곤문제를 이론적으로 분석한다. Study the current status, theories, and social policies relating to poverty and inequality that ar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background factors for most social problems. 전선 3 1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S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개인, 집단, 가족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복지사가 숙지해야 하는 다양한 실천모델과 개입기술, 기법, 지침 등을 학습한다. Practical skills, techniques, methods, and strategies in the field of social work that aim to improve the function of individuals, families, and groups in society. 전선 3 1
사회복지 행정론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사회복지정책을 사회복지 서비스로 전환하는 사회복지조직과 이들의 연계체계인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학습한다. General administrative theories, policy issues, organization theories,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fiscal issues relative to the operation of various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cluding governmental agencies. 전선 3 1
의료사회 사업론 Social Work in Health Care 의료복지론의 발전과정과 기능 등을 강의하는 동시에 건강과 질병, 병원과 환자, 환자의 가족 등의 관계를 이해시키며 환자에 대한 개별의료 사업과 단체의료 사업 및 선진복지 국가들의 의료복지를 소개한다. Understanding of social work practice methods in medical facilities and pther health settings. Current issues in public health policies are emphasized. 전선 3 1
정신보건 사회복지론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정신보건 영역에서의 사회복지활동을 통하여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 및 공동체를 원조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지식과 역할을 학습한다. Practice of social workers in a psychiatric setting, including their roles, responsibilities, and relationship with other professionals. 전선 3 1
노인복지론 Social Services with the Elderly 노인복지활동에 필요한 지식과 함께 노인복지 정책 프로그램과 실천기술을 학습한다 Introduction to the problems and issues of the elderly in modern society and examinig social welfare programs and policies to meet the needs of the elderly. 전선 3 2
사례관리론 Case Management 사회복지실천의 새로운 기법인 사례관리기법의 기본 이론과 기술을 학습하여 실제적인 사례관리를 수행할 능력을 함양한다. 특히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한 클라이언트에게 적 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 지식과 스킬의 습득에 주력한다. Study practical skills and knowledge of case management, by which students can systematically provide comprehensive services clients with multifaceted needs and problems. 전선 3 2
사회복지 현장실습1 Social Work Practicum 1 사회복지 현장실습을 통해 사회복지의 가치 및 윤리, 지식, 사회복지실천과정 및 기술을 실제에 적용함으로써 전문적 실천능력을 습득한다. Orientation to social work practice issues. Provides basic field work experience in diverse social work agencies. 전선 3 2
산업복지론 Industrial Social Welfare 노동문제와 직장 내의 새로운 사회적 관계 등에 대한 현상분석을 기초로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행하는 국가복지, 기업복지 및 산업사회사업의 방법론을 학습한다. Covers information, values, and skills relevant to successful professional practice in labor industrial settings. 전선 3 2
가족정책론 Family policy 가족정책의 개념과 역사적 배경을 고찰하고, 우리나라와 선진사회 가족정책의 현황을 파악한 후, 저출산과 고령화로 특징 지워지는 한국의 사회적 변화에 부응하는 가족정책의 방향에 대해 연구한다. Understand changes in family life and functions. Also, study social policies that address social risks threatening healthy family life. 전선 4 1
사회보장론 Social Security 선진국과 한국의 다양한 사회보장제도에 대해 학습하고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의 과제와 전망에 대해 살펴본다. Research into the history of social security development, as well as its current practice around the world. 전선 4 1
사회복지 윤리와철학 Social Work Practice Ethics 사회복지를 이해하는 데 기본적인 가치와 철학, 윤리학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천현장에서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가치관과 윤리관을 습득한다. Integrating traditional social work values and ethics into social work practice. Case analysis of major ethical issues in working with clients, families, groups and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전선 4 1
사회복지 현장실습2 Social Work Practicum 2 사회복지현장실습 1의 연속과목으로서 사회복지사업의 현장에서 방법과 기술을 적용해 보고 이론의 유용성을 실습하는 한편 학생들의 적성과 능력을 평가받는 기회로 삼는다. An intensive social work practice in social work field, with seminar covering diverse issues of student and faculty choosing. 전선 4 1
가족상담론 Family Counseling 다양한 문제 상황에 처해 있는 가족을 돕기 위해 문제가족에 대한 사례관리와 상담접근법에 대한 이론과 기술을 직접 체험하여 습득하도록 한다. Based on system theory perspective, various counseling skills and methods to improve family functioning. 전선 4 2
복지국가론 Welfare State 복지국가의 형성과정과 외국의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 현실에 부합하는 국가의 복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학습한다. Development and features of modern welfare state, and its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전선 4 2
사회복지 법제론 Social Welfare and Law 사회복지법의 개념, 생성 배경과 과정, 사회복지법의 체계와 권리성 등을 헌법과 관련하여 총론적으로 학습한다. Wide range of legal issues on social security, social insurance, public assistance, and other social services. 전선 4 2
사회복지 실천론 Theories of Social Work Practice 사회복지실천 전반에 대한 기초 지식과 개인, 가족, 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실천모델에 관한 기초지식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학습한다. Fundamental knowledge of social work practice from the holistic viewpoint. Various practical models and theories in helping individuals, families, and groups. 전필 2 2
사회복지 정책론 Social Welfare Policy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사회복지정책의 과정, 내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준거 틀을 학습한다. Various aspects of social welfare policy-making, including policy formulation and its analytic framework. 전필 3 1
TOP